LDR | | 01363nmmkc 00241 k |
001 | | 000000324243 |
005 | | 20230904092943 |
007 | | cz zz |
008 | | 120911s2022 ulk z e a kor |
020 | |
▼a 9791190116688 :
▼c \ 19,440 |
040 | |
▼a 248032
▼c 248032
▼d 248032 |
049 | |
▼l EE33537 |
056 | |
▼a 331.5412
▼2 5 |
090 | |
▼a 331.5412
▼b 소68ㅇ |
110 | |
▼a 소이경제사회연구소 AI연구회 |
245 | 10 |
▼a AI와 사회 변화 :
▼b 지금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h [전자책] /
▼d 소이경제사회연구소 AI연구회 지음,
▼e 김영배 지음,
▼e 김진형 지음,
▼e 박성혁 지음,
▼e 서정연 지음,
▼e 안병훈 지음,
▼e 이경전 지음,
▼e 이재훈 지음,
▼e 이철환 지음,
▼e 이태억 지음,
▼e 조대곤 지음,
▼e 조원영 지음,
▼e 최병삼 지음,
▼e 현정순 지음 |
256 | |
▼a e-Book |
260 | |
▼a 서울 :
▼b MID,
▼c 2022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
300 | |
▼a 227,668k :
▼b 천연색 |
516 | |
▼a IMGB |
520 | |
▼a 2014년 펼쳐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로 인류는 인공지능이 가진 가공할 힘을 깨닫게 되었다. 1997년 체스를 정복한 이후로 20년도 채 지나지 않은 사이의 결과로, 이후로도 인공지능은 하루가 다르게 강력해지고 있는 중이다. 기술의 변화 속도는 점점 더 빨라져 2022년 6월 구글의 한 개발자는 인공지능 ‘람다’가 지각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하기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발전을 보고 사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
653 | |
▼a 사회학 |
776 | 1 |
▼a 소이경제사회연구소 AI연구회
▼t AI와 사회 변화
▼z 9791190116688 |
856 | 40 |
▼u https://ebook.kaya.ac.kr:8083/book/bookdetail.asp?book_num=M0061410 |
950 | |
▼b \ 19,440 |
990 | |
▼a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