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1591nmm c2200241 k 4500
001000000273377
00520190828125740
008190827s2010 ulk z e a kor
020 ▼c \2300
040 ▼a 248032 ▼c 248032 ▼d 248032
056 ▼a 911 ▼2 5
090 ▼a 911 ▼b 왕54ㅇ
1001 ▼a 왕성순
24510 ▼a 여한십가문초 : ▼b 조선 시대 문장가 김택영의 제자 왕성순이 펴낸 고문선집 ▼h [전자책] / ▼d 왕성순
256 ▼a e-Book
260 ▼a 서울 : ▼b 두산동아, ▼c 2010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300 ▼a 41,722k : ▼b 천연색
440 ▼a 한국인이꼭읽어야할한국고전및사상100선 ; ▼v 93
516 ▼a XDF
520 ▼a 1. 고려 문열공 김부식 문[高麗金文烈文] 해제(解題)김부식(金富軾, 1075~1151, 고려 문종 29-의종 5)의 자는 입지, 호는 뇌천, 시호는 문열이다.숙종 때 등제하고 여러 관직을 역임하여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묘청의 반란을 평정한 공로로 낙랑국개국후(樂浪國開國侯)에 봉해졌다. 김공은 글을 잘하여 천하에 이름을 떨쳤다. 송나라 사신 노윤적이 왔을 때 관반(館伴)으로서 그를 접대하였는데, 그의 보좌관 서긍은 김공의 글과 사람됨이 뛰어남에 감복하여, 그의 저서 《고려도경(高麗圖經)》 속에 김공의 세가(世家)와 초상화를 실어, 돌아가 상주(上奏)하였다. 황제가 특별히 명하여 이것을 찍어 내어 널리 전하게 하자, 김공의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김공의 형 김부일(金富佾), 동생 김부철(金富轍), 그리고 아들ㆍ손자 등이 다 문명이 높아 김공의 집안은 이른바 삼대 문벌인 최충(崔?)ㆍ이자연(李子淵)ㆍ김부일(金富佾) 집안 중 하나로서 당시 문단의 거벽이었다.
653 ▼a 고전 ▼a 한국 ▼a 사상 ▼a 조선 ▼a 문장가 ▼a 김택영 ▼a 왕성순
7761 ▼a 왕성순 ▼t 여한십가문초
85640 ▼u http://ebook.kaya.ac.kr:8080/main/detail.asp?book_num=49A23DF9-7D44-4ae3-925D-05E69B11422A
950 ▼b \2300
990 ▼a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