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R | | 01892nmm c2200241 k 4500 |
001 | | 000000273368 |
005 | | 20190828125729 |
008 | | 190827s2010 ulk z e a kor |
020 | |
▼c \2700 |
040 | |
▼a 248032
▼c 248032
▼d 248032 |
056 | |
▼a 911
▼2 5 |
090 | |
▼a 911
▼b 이95ㅅ |
100 | 1 |
▼a 이황 |
245 | 10 |
▼a 성학십도 :
▼b 열 가지 그림으로 읽는 성리학
▼h [전자책] /
▼d 이황 |
256 | |
▼a e-Book |
260 | |
▼a 서울 :
▼b 두산동아,
▼c 2010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
300 | |
▼a 70,869k :
▼b 천연색 |
440 | |
▼a 한국인이꼭읽어야할한국고전및사상100선 ;
▼v 67 |
516 | |
▼a XDF |
520 | |
▼a 한국의 성리학을 대표할 수 있는 사상가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는 그의 사상의 종합적인 면모를 반영한 핵심적인 저작이다. 《성학십도》는 퇴계가 그의 만년 68세에 당시 17세인 선조를 위하여 자신의 학문적 경지를 10개의 도(圖)와 해설(解說)로써 집약하여 제시한 것이다. 이것은 구성상 이전의 신유학자(新儒學者)들의 도(圖)와 설(說)을 사용하였지만 엄연히 퇴계의 사상적 입장이 집약적으로 반영된 저작이다. 또한 《성학십도》에서 말하는 ‘성학’은 그 대상이 군주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유학에 발을 들여놓은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성학십도》에는 ‘나는 어디서 왔는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말하자면 오늘날에도 통용될 수 있는 인간의 본원과 희망에 관련된 깊이 있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더욱이《성학십도》에 소개된 내용들은 대부분 많은 학자들이 오랜 사색과 학문적 경험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설파해 온 것들이다. 이런 개별적인 동아시아 근세의 신유학 이론들이 한국의 퇴계라는 지성에 이르러 체계적으로 종합되어 논의된 것은 우리의 학술사, 나아가서는 동아시아 지성사에 있어서 대단히 큰 의미를 갖는다. 차근차근 시간을 두고 음미해 가다 보면 자신의 삶이 보다 넓어지고 깊어짐을 느끼며, 타자와 세계를 바라보는 안목 또한 경박해지지 않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
653 | |
▼a 고전
▼a 한국
▼a 사상
▼a 성리학
▼a 그림 |
776 | 1 |
▼a 이황
▼t 성학십도 |
856 | 40 |
▼u http://ebook.kaya.ac.kr:8080/main/detail.asp?book_num=1EE5678C-D1AD-4d28-957E-6B7546F9AA6E |
950 | |
▼b \2700 |
990 | |
▼a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