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1701nmm c2200229 k 4500
001000000273190
00520190828125353
008190827s2004 ulk z e a kor
020 ▼a 8995459336 : ▼c \15000
040 ▼a 248032 ▼c 248032 ▼d 248032
056 ▼a 349 ▼2 5
090 ▼a 349 ▼b 지74ㅇ
1001 ▼a 지젝, 슬라보예
24510 ▼a 이라크 : ▼b 빌려온 항아리 ▼h [전자책] / ▼d 슬라보예 지젝
256 ▼a e-Book
260 ▼a 서울 : ▼b 도서출판 비, ▼c 2004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300 ▼a 41,955k : ▼b 천연색
516 ▼a XDF
520 ▼a 대학 담론의 “대상”은, 두 가지 대립된 이데올로기적 공간에 속해 있는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 두 가지 양상을 갖는다. 하나는 인간을 벌거벗은 생명체로, 전문적 보호관리 지식이 적용되는 대상인 호모 사체르homo sacer로 환원시키는 양상이며 다른 하나는 극한 상황에 처한 취약한 타자를 존중하는 양상, 즉 자신을 취약한 것으로, 다중적인 정치적 “학대”에 부단히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경험하는 나르시시즘적 주체성의 태도라는 양상이다. 타자의 취약성에 대해 존중하는 것과 타자를 관리적 지식에 의해 규제되는 “생명체에 불과한 것”으로 환원시키는 것 사이에 있는 대조보다 더 큰 대조가 있을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자세는 동일한 뿌리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라면 어쩔 것인가? 그것들은 하나의 동일한 기본적 태도의 두 가지 양상이라면 어쩔 것인가? 그것들은 대립물의 동일성을 단언하는 헤겔적인 “무한 판단”의 현대적 사례라고 지칭하고픈 것 속에서 일치한다면 어쩔 것인가? 양 극이 공유하는 것은 정확히 말해 여타 상위의 대의들을 기본적으로 거부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생명 그 자체라는 생각이 깔려있다.
653 ▼a 평화 ▼a 미국전쟁 ▼a 저항 ▼a 민주주의
7761 ▼a 지젝, 슬라보예 ▼t 이라크 ▼z 8995459336
85640 ▼u http://ebook.kaya.ac.kr:8080/main/detail.asp?book_num=17E41AB3-44B2-4c8c-80D1-E632DF2C7527
950 ▼b \15000
990 ▼a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