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2006nmm c2200229 k 4500
001000000272880
00520190828124617
008190827s2007 ulk z e a kor
020 ▼a 9788991645257 : ▼c \18000
040 ▼a 248032 ▼c 248032 ▼d 248032
056 ▼a 224 ▼2 5
090 ▼a 224 ▼b 김83ㄲ
1001 ▼a 김철호
24510 ▼a 깨달음에 이르는 붓다의 수행법 ▼h [전자책]. ▼n 1 / ▼d 김철호
256 ▼a e-Book
260 ▼a 서울 : ▼b 유토피아, ▼c 2007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300 ▼a 24,132k : ▼b 천연색
516 ▼a XDF
520 ▼a 마침내, 붓다의 정통 수행법을 온전하게 복원하다2,600년 불교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저작은 5세기경 스리랑카에서 붓다고사가 쓴《청정도론》이다. 오늘날까지 남방 근본불교인 상좌부 불교의 부동의 준거가 되고 있는 이 책은 상좌부 경장과 논장에 나타난 모든 수행 관련 기사를 일곱 가지 청정으로 분류하여 수록한 불교수행법 주석서이다. 그러나 이 책은 불교수행법을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했을 뿐, 실질적인 수행의 절차와 방법을 알려주지 못하는 것은 물론 위빠싸나 위주로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붓다의 수행법을 왜곡한 치명적 단점을 안고 있다.《깨달음에 이르는 붓다의 수행법》은 정통적인 붓다의 수행법을 가장 잘 체계화한 여섯 단계 수행 시스템에 따라 싸마타와 위빠싸나를 바르게 닦을 수 있도록 구성했고,《청정도론》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싸마디(삼매)를 성취하는 수행법, 싸마타와 위빠싸나를 함께 닦는 지관병수 수행법, 깨달음에 이르는 ‘도道의 명지明知’를 성취하는 방법 등을 실천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불교 역사상 처음으로 올바르고 수미일관한 수행법 체계를 확립해놓았다. 특히 이 책은 붓다의 여섯 단계 수행법 중에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환還’과 ‘정淨’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수행법을 밝혀놓았을 뿐 아니라 그 바탕이 되는 이론체계를 정립함으로써, 불멸佛滅 후 2,500여년 만에 비로소 불교 수행법이 실천적 수행방법과 더불어 수행이론까지 온전하게 갖춘 완벽한 시스템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653 ▼a 불설대안반수의 경수(數) ▼a 수(隨) ▼a 지(止) ▼a 관(觀) ▼a 환(還) ▼a 정(淨)
7761 ▼a 김철호 ▼t 깨달음에 이르는 붓다의 수행법 ▼z 9788991645257
85640 ▼u http://ebook.kaya.ac.kr:8080/main/detail.asp?book_num=E01CCA30-D8B0-4a3e-965E-4886F7A7C6F7
950 ▼b \18000
990 ▼a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