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0000nmm c2200205 k 4500
001000000269347
00520211018115851
008190228s2017 ulk 001a kor
020 ▼a 9791187980193 : ▼c \24200
040 ▼a 248032 ▼c 248032 ▼d 248032
0411 ▼a kor ▼h eng
056 ▼a 413.3 ▼2 5
090 ▼a 413.3 ▼b 샤898ㅇ
24500 ▼a n분의 1의 함정 ▼h [전자책] : ▼b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게임이론의 모든 것 / ▼d 하임 샤피라 지음; ▼e 이재경 옮김
24619 ▼a Gladiators, pirates and games of trust : ▼b how game theory, probability and strategy rule our lives
256 ▼a e-Book
260 ▼a 서울 : ▼b 반니, ▼c 2017 :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g 2019)
300 ▼a 전자책 1책 : ▼b 천연색
500 ▼a 원저자명: Haim Shapira
504 ▼a 참고문헌(p.225-227)과 색인수록
516 ▼a XML
520 ▼a 믿고 협력하는 것이 나을까? 먼저 배신하는 것이 이익일까? 가장 유익한 선택을 찾는 의사결정의 과학! 밥값을 n분의 1로 내는 데에는 어떤 함정이 있을까? 밥값내기의 딜레마 이기적 선택은 언제나 유리할까? 죄수의 딜레마 쿠바 미사일 위기는 어떻게 해결되었을까? 치킨 게임 신뢰하고 협력하는 것이 나을까? 배신하는 것이 이익일까? 사슴사냥 게임. 너를 믿을 수 있을까? 사람들은 상대가 챙길 돈이 얼마인지 안다는 이유만으로도 거저 주겠다는 돈을 거부하곤 한다. 왜 그럴까? 수학적 계산에 사람들이 느끼는 모욕감을 어느 정도나 고려해야 할까? 그것을 수량화할 수나 있을까? 바보 취급을 당하느니 경제적 이득을 포기하겠다는 금액의 상한선은 어디일까? 내가 받은 돈을 누군가에게 나눠주면, 그 나눠준 금액의 열 배를 상대가 받는다고 할 때 우리는 어떻게 행동할까? 그리고 단순히 그냥 얻어걸린 횡재에 사람들은 어떤 보상 행동을 할까? 그냥 돈을 준 것에 감사할 것이라는 생각은 정말 단순한 판단이다.
538 ▼a 시스템 조건: 해상도 1024*768
653 ▼a n분의1 ▼a 함정
7001 ▼a 샤피라, 하임
7001 ▼a 이재경
7761 ▼a 샤피라, 하임. ▼t n분의 1의 함정, ▼z 9791187980193
85641 ▼u http://ebook.kaya.ac.kr:8080/main/detail.asp?book_num=X0226270
90010 ▼a Shapira, Haim
9500 ▼b \24200
990 ▼a 관리자 ▼b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