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2109nmmkc 00301 c 4500
001000000262681
00520190726084922
008161101s2004 ggk d a kor
020 ▼a 8952203062 ▼g 04080
0201 ▼a 8952200969(세트)
040 ▼a 248032 ▼c 248032 ▼d 248032
056 ▼a 980.9 ▼2 4
0820 ▼a 910.9 ▼2 21
090 ▼a 980.9 ▼b 김52ㅅ
24500 ▼a 세계지도의 역사와 한반도의 발견 ▼h [전자책] / ▼d 김상근 지음
256 ▼a 전자 데이터
260 ▼a 파주 : ▼b 살림, ▼c 2004 : ▼f (교보문고, ▼g 2006)
300 ▼a 전자책 1책 : ▼b 천연색
44000 ▼a 살림지식총서 ; ▼v 138
516 ▼a PDF, ePUB
520 ▼a 세계지도가 모습을 갖추어가는 과정에서 한반도는 어떻게 이해되고 묘사되었는지 살펴보면서, 동과 서의 지리적 만남을 지도제작술 역사의 관점에서 서술한 책이다. 한반도가 구체적인 지리적 존재로 인식되고 유럽인들이 제작한 세계지도 상에 반영될 때까지 루브룩의 윌리엄, 마테오 리치, 마리티노 마르티니, 18세기에 동아시아 전역을 측량했던 프랑스 출신 예수회 신부들, 최초로 조선을 독립 국가로 표시한 장밥티스트 당빌이 남긴 영향을 분석하면서 서양과 조선의 지리적 만남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세계지도의 역사적 변천 과정, 지도제작술에 큰 영향을 미친 발견과 여행가들, 서양지도가 처음 소개되면서 중국에서 일어난 충격과 사유의 변화, 한반도에 대한 왜곡된 묘사와 웃지 못할 사연, 한반도를 처음 목격한 사람들이 서양에 전한 모습, 서양인을 처음 목격한 한국인의 충격 등 다양한 역사적 사료를 수록하였다
530 ▼a 책자형태로 간행: ISBN 8952203062
538 ▼a 시스템 조건: 해상도 1024*768
653 ▼a 세계지도 ▼a 역사
7001 ▼a 김상근
7760 ▼t 세계지도의 역사와 한반도의 발견, ▼z 8952203062
85641 ▼u http://ebook.kaya.ac.kr:81/Kyobo_T3/Content_check.asp?barcode=4808952203069
9500 ▼b \8640
990 ▼a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