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0995cam 2200253 c 4500
001000000118990
005101004.00
007ta
008041229s2003 ulkab 000a kor
020 ▼a 8990618312 ▼g 94980: ▼c \29,500
035 ▼a KRIC09027958
0491 ▼l GM00016672
056 ▼a 981.1 ▼2 4
090 ▼a 981.24 ▼b 한16ㅇ
110 ▼a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510 ▼a 우리 국토에 새겨진 문화와 역사 / ▼d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지음.
260 ▼a 서울 : ▼b 논형, ▼c 2003.
300 ▼a 571, [3] p.: ▼b 圖, 表, 地圖 ; ▼c 23 cm.
44000 ▼a 논형학술 ; ▼v 2
504 ▼a 參考文獻 收錄.
505 ▼a 한국 고지도의 발달 / 이찬 -- 조선후기 하천 중심의 국토 인식 ; 『대동수경』,『산수심원기』,『산행일기』를 중심으로 / 양보경 -- 조선시대 전오염 제조방법에 관한 고찰 / 김일기 -- 중국의 『주례』적 이상이 한성의 수도공간 조성에 끼친 영향 / 임덕순 -- 경복궁과 구 조선충독부 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 윤흥기 -- 화성의 건설과 정조의 풍수지리관 / 성동환 -- 이민문학을 통해서 본 1930년대 북간도 조선이민의 공간인지 : 박계주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은숙 -- 영동지역 석호의 축소와 경지화 과정 : 경포호를 중심으로 / 이준선 -- 낙동간 삼각주 지역의 갈대지붕 민가 연구 / 장보웅 -- 진주의 역사적 경관 해석 / 김덕현 -- 한국의 비보풍수론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 최원석 -- 지리산지 촌락의 입지와 형태 / 정치영 -- 영산호 주변 지역 간석지 개간과정과 경관변화 / 김경수 -- 한국의 농지개간과정에 관한 소고 : '김만경평야'를 중심으로 / 남궁봉 -- 17세기초 서산지방의 지리적 상황 : 『호산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 이문종 -- 제주의 지리적 환경과 주민의 정체성 / 송성대.
7001 ▼a
7001 ▼a 이찬, ▼d 1932-2003. ▼t 한국 고지도의 발달
7001 ▼a 양보경, ▼d 1955-. ▼t 조선후기 하천 중심의 국토 인식 ; 『대동수경』,『산수심원기』,『산행일기』를 중심으로
7001 ▼a 김일기, ▼d 1938-. ▼t 조선시대 전오염 제조방법에 관한 고찰
7001 ▼a 임덕순, ▼d 1939-. ▼t 중국의 『주례』적 이상이 한성의 수도공간 조성에 끼친 영향
7001 ▼a 윤흥기, ▼d 1944-. ▼t 경복궁과 구 조선충독부 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7001 ▼a 성동환, ▼d 1963-. ▼t 화성의 건설과 정조의 풍수지리관
7001 ▼a 이은숙, ▼d 1944-. ▼t 이민문학을 통해서 본 1930년대 북간도 조선이민의 공간인지 : 박계주의 작품을 중심으로
7001 ▼a 이준선, ▼d 1949-. ▼t 영동지역 석호의 축소와 경지화 과정 : 경포호를 중심으로
7001 ▼a 장보웅, ▼d 1936-. ▼t 낙동간 삼각주 지역의 갈대지붕 민가 연구
7001 ▼a 김덕현, ▼d 1949-. ▼t 진주의 역사적 경관 해석
7001 ▼a 최원석, ▼d 1963-. ▼t 한국의 비보풍수론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7001 ▼a 정치영, ▼d 1965-. ▼t 지리산지 촌락의 입지와 형태
7001 ▼a 김경수, ▼d 1959-. ▼t 영산호 주변 지역 간석지 개간과정과 경관변화
7001 ▼a 남궁봉, ▼d 1937-. ▼t 한국의 농지개간과정에 관한 소고 : '김만경평야'를 중심으로
7001 ▼a 이문종, ▼d 1939-. ▼t 17세기초 서산지방의 지리적 상황 : 『호산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7001 ▼a 송성대, ▼d 1945-. ▼t 제주의 지리적 환경과 주민의 정체성
940 ▼a 이민문학을 통해서 본 천구백삽십년대 북간도 조선이민의 공간인지
940 ▼a 십칠세기초 서산지방의 지리적 상황
040 ▼d 248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