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이 책은 슬라보예 지젝의 The Indivisible Remainder: An Essay on Schelling and Related Matters(Verso, 1996)을 완역한 것이다. 슬라보예 지젝의『나눌 수 없는 잔여』는 두 가지 점에서 지젝의 다른 책들과 구분된다. 첫째, 이 책에서 지젝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설명하기 위해서 헤겔을 참조하는 대신 셸링을 참조한다. 둘째, 지젝은 셸링을 독일 관념론의 전통 속에서 위치시키는 전통적인 독해를 넘어서, 루크레티우스와 마르크스로 이어지는 유물론의 전통 속에 위치시킨다. 특히 이 책『나눌 수 없는 잔여』에서 지젝이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셸링의 책은『세계의 시대들Die Weltalter』이다. 지젝에 따르면, 셸링은 그 책에서 의식은 무의식이라는 토대 위에, 역사는 신의 광기라는 토대 위에, 개별자indivisible로서의 주체는 나눌 수 없는indivisible 대상이라는 토대 위에서 분만된다. 바로 이 토대가 지젝이 주목하는 셸링의 유물론적 요소이다. 이 토대로서의 무의식, 신의 광기, 대상은 독일 관념론이 강조하는 의식, 역사, 주체를 분만할 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의식, 역사, 주체 속에서 ‘나눌 수 없는 잔여’로 끈덕지게 존재하는 것이다. 지젝의 표현을 빌자면, “반성적 이념화에 저항하는 실재, ‘나눌 수 없는 잔여’는 이념화/상징화가 삼킬’ 수 없고 내면화할 수 없는 일종의 외적 중핵이 아니라, 이념화/상징화를 정초하는 제스처의 ‘비합리성’, ‘설명할 수 없는 광기’이다.” 이러한 셸링 철학의 유물론적 독해를 통해 지젝은 셸링과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서, 지젝은 ‘나눌 수 없는 잔여’로서의 이러한 셸링의 유물론적 ‘토대’’를 라캉의 실재의/로서의 잔여와 연결시킨다. 즉 상징화가 그 안에서 완전히 나눌 수 없는 잔여, 상징화의 배설물로서의 잔여로서 말이다. 또한 지젝은 이 ‘나눌 수 없는 잔여’인 셸링의 유물론적 ‘토대’를 라캉의 대상 a와 연결시킴으로써 라캉의 주체를 유물론적으로 독해하려는 시도를 한다. (라캉의 환상공식) 따라서 이 책의 제목『나눌 수 없는 잔여』는 다음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일 관념론, 혹은 전통 철학의 중심 주제로서의 의식, 역사, 주체는 그것들의 토대인 무의식, 광기, 대상의 흔적을 완전히 지우도록 ‘나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항상 그것들 속에 ‘잔여’로서 남아 있다. 둘째, 주체만이 ‘나눌 수 없는’ 개별자indivisible가 아니라, 항상 무한히 나누어진다고 생각되던 대상도 이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것이 된다. (사실, 라캉에게서 주체는 이미 나누어져 있다(S/).) 따라서 대상과 주체는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를 대리보충한다. 마지막으로, 산수에서 ‘나머지’는 하나의 수가 다른 수에 의해서 정확히 나누어 지지 않을 때 남는 양인 것처럼, 나눌 수 없는 ‘잔여’는 상징계, 즉 의미화 네트워크에 의해서 정확히 나누어지지 않는 주이상스/실재의 ‘나머지’이다. 지젝의 비교적 초기 저작인『나눌 수 없는 잔여』의 국내출간을 통해서, 국내 독자들은 이미 국내에 출간 번역되어 있는 다른 책들과 함께 지젝의 지적 여정을 다시 한 번 그려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여정 속의 ‘잃어버린 한 조각’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